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은 1928년도 『동아일보』 <島嶼巡禮> 시리즈에 나타난 도서지역 민속 사례를 살펴보고,그 속에 드러난 필자와 주민들의 도서 민속과 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1920년대 이후 언론매체들은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국토’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려 노력하였는데,그러한 시도 중의 하나가 <도서순례>이다. <도서순례>에는 儀禮, 漁法, 漁期,口碑 등 다양한 도서지역 민속사례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사례를 통해민속에 대해서 허황함과 두려움이라는 이중적 감정이 교차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아울러섬에 대해서는 사람이 살기 불편한 곳이라는 생각과 함께 불리한 생활 조건을 극복하는 섬사람들의 모습을 본받아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민족의 미래를 위해 적극적으로 섬과 바다에 대해 공부하고 진출하자는 제의도 하고 있는데, 이는 바다가 가지고있는 경제적 부분을 적극 활용하자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섬[島嶼]’은 역사 이래로 다양한 문화가 이동하는 길목이었고,오늘날에는 해양 영토의지킴이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접근성과 위험성 때문에 육지와는 단절된 소외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도서지역 문화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라 해도 손색이 없는<도서순례>에서는 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주목된다.


This study examined cases of island folklores shown in <Doseosulre(Island Trip)> series in Dongailbo, and also the awareness about island folklores therein. The media after 1920s endeavored to strengthen the interest in our ‘territory’ to reinforce the national identity. <Doseosulre(Island Trip)> is one of such attempts. In <Doseosulre(Island Trip)>, there are various cases of island folklores in such as ritual, fishing method, fishing period and oral tradition. Such cases demonstrated people’s double emotion of fantasy and fear. In addition, it also showed that people thought the island as an inconvenient place to live in and they had to imitate the attitude of islanders who attempted to overcome disadvantageous life condition. Furthermore, it also suggested people to study sea and to advance toward sea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which meant to utilize economic part of ocean actively. Since the human history, the ‘island’itself is a route to transmit various cultures and even today, the island receives attention as a protector of oceanic territory. However, it is still believed as isolated space due to its limited accessibility and hazard. It is noteworthy that <Doseosulre(Island Trip)>, the allegedly first report on the culture of island area, required us of changing our awareness on the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