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7세기 고구려의 도교 수용 배경에 대하여 고찰한 것으로 당시의 ‘道敎’가 對唐關係를 조율하는 외교적 도구의 성격이 강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고구려의 도교수용은 624년과 625년, 그리고 643년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624년 당고조는 고구려에서 오두미교가 성행함을 듣고, 천존상을 보내고 도사를 파견하여 도교의 교법을 강의하게 하였다. 이때의 도교는 화친도모의 성격도 있었지만 조공책봉관계를 의식하고 당의 국가종교의 전래를 통해 영향력을 과시하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다. 625년의 도교 전래는 고구려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다. 고구려는 624년과 625년, 당의 도교의 전래와 수용, 요청을 거치면서 도교를 외교적 도구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던것 같다. 당태종 즉위 이후 본격적으로는 630년대부터 당과 고구려는 ‘전쟁의 효과적 遂行과對備’라는 뚜렷이 상반된 목적 아래 상대국에 대한 정보수집을 전개하였다. 고창 정복을 성공하자 태종은 대고구려전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였고 당 조정에서는 전쟁에 대한논의가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개소문은 영류왕의 시해라는 명분상의 부담감을안고 집권하였다. 연개소문의 집권 이후 당 조정의 대고구려전에 대한 중론은 ‘開戰’으로 모아지는 등 고구려에서 전쟁의 불안은 한층 고조되었고 대책을 마련해야 했다. 연개소문은 빈번한 사신 파견을 통해 당의 老子와 도교 숭배가 고조대보다 강화되었다는 사실과 도교가 당과의 전쟁을 막을 수 있는, 국제적 긴장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매개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정하고, 당에 도교를 요청하여 도교 진흥책을 펼쳤다. 이러한 대외적 측면과 더불어 대내적으로는 민중 사이에 널리 신봉되었던 도교(오두미교)를 국가도 지원한다는 점을 피력하면서 전란을 앞둔 불안한 민심을 결집하는 데일정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고려도 있었을 것이다. 연개소문이 당에 도교를 요청하면서 ‘三敎의 鼎立’을 위함이라고 하였지만 643년은국가의 사상균형을 논할 만큼 평화로운 시기가 아니었다. 이 시기 도교의 요청은 전쟁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당과의 전쟁을 막아보고자, 혹은 그 시기를 가능한 한 좀 더 미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구사된 외교전략의 하나였다. 표면적으로 당은 도교를 전래하고, 고구려는 도교를 수용하는 사상의 교류가 이루어졌지만 이 시기 도교의 전래와 수용, 요청의 이면에는 당이 영향력을 과시하는 수단과 고구려가 당과의 긴장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도구로서, 국제적 관점에서 구사된 외교전략으로서의 성격이 있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道敎’가 국제적 긴장관계를 조율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외교적 도구로서 기능하였던 점은 고구려와 당과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불교의 원류인 천축국의 소국이었던 伽沒路國의 사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있다.


In response to Tang’s reunification of Chinese continent, Goguryeo changed the foreign policy toward Tang giving up the high profile for the Dynasty Su. Tang also wanted to maintain peaceful relations with Goguryeo by sending envoys with frequency and collecting information in order to stabilize political disturbances in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and not to follow Su's failure. Since Gojo(高祖) got to know thatWutoumitao(五斗米道) is prevalent in Goguryeo, Tang dynasty dispatched Taoist priest(道士) and envoys to Goguryeo to introduceWutoumitao which the Royal family of Tang had the very strong belief in. While Tang introduced Taoism to Goguryeo to keep peaceful relations, she wanted to consolidate the influence on Goguryeo through the state religion under the tribute-investiture relationship. With unexpected introduce of Taoism, Goguryeo sent envoys to Tang and saw that Taoism and Noja(老子) had been widespread across the country. Goguryeo officially asked Tang to introduce Taoism in 625, the next year. Goguryeo seemed to realize that Taoism is a good means for diplomacy for Tang. However, Buddhism was still major religion in Goguryeo and the creed of Buddhism was asked for Tang together with Taoism’s. With the purpose on the preparation and success for war, both countries tried to collect information closely since 630s. Goguryeo showed variable attitudes with stick and carrot diplomacy including having the diplomatic hiatus or observing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olitical situation such as Tang’s conquests of other countries. This strategy was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about politics, military, economy, and culture of Tang. After the conquest of Gochang(高昌), Taejong(太宗) showed the will to have war against Goguryeo and the discussion was carried on. Yeongaesomun(淵蓋蘇文), who assumed the power with burden by murdering King Youngryu(榮留王), dispatched envoys very frequently from the first time so as to grasp the situation of Tang. Therefore,he could perceive immediately the Tang’s political ambience favored the war against Goguryeo and started to consider a countermeasure with the fear of war. Yeongaesomun asked Tang to introduce Taoism and encouraged it as a means to prevent war and to eliminate the tension between two countries. In addi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aoism which is close to the public, he thought that Taoism could contribute to get rid of the anxiety of the people about the war. Tang introduced Taoism and Goguryeo accepted it actively in the 7th century because Taoism was used to promote peace, to show off the influence of Tang on Goguryeo, and to end tension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Given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in 643 it was not peaceful enough to discuss the balance between religions and to emphasize a triangular position of three religions. Taoism also was functioning as a tool to mediate international relations as we can see the case of Gamologuk(伽沒路國) which was a small country from ancient India, the origin of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