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朝鮮後期 實學이 대두하기 전까지 崔致遠의 三韓認識은 정설로 받아 들여졌다. 삼한-삼국의 계승관계에 주목했던 전통적인 삼한인식은 韓百謙의 역사지리학적 접근을 통하여 새롭게 모색되었다. 곧 『東國地理誌』에서 上古史의 전개를 남․북의 二元的인 체계로 상정하고 삼한의 위치를 馬韓-湖南․湖西, 辰․弁韓-嶺南지역에 비정하였다. 그 뒤 柳馨遠, 申景濬 등은 辰國-삼한(마한-진․변한)-백제․신라․가야로 이어지는 계승관계와 ‘三馬韓說’을 제시하여 한백겸의 삼한설을 보충하였고, 시․공간적으로 삼한의 역사적 실체를 복원하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역사지리학적 연구에 실증적인 접근이 더해지고, ‘三韓正統論’에 입각한 고대사 인식체계가 수립되면서 삼한에 대한 관심은 커갔다. 李瀷은 檀君朝鮮-箕子朝鮮-三韓으로 연결되는 ‘삼한정통론’을 강조했으며, 특히 마한과 진․변한의 영속관계 및 ‘三韓始終’의 史的 전개과정을 제시하였다. 安鼎福은 李瀷의 史論을 계승하여 단군조선-기자조선-마한-無統(삼국)-통일신라-고려-조선으로 이어지는 역사체계를 세워 삼한정통론을 확립하였으며, 합리적 고증태도를 견지하였다. 그 뒤 丁若鏞은 기록 자체를 비판하는 엄밀한 考證으로 오늘날 학계의 통설에 근접한 삼한의 실상을 제시하였으며, 문헌고증의 수준을 한 단계 높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韓致奫은 ‘博文典據’주의에 입각하여 방대한 국내외 사료를 발췌․집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삼한연구를 추구하였다. 철저한 문헌고증과 폭넓은 관련사료의 집성에 바탕을 둔 정약용과 한치윤의 삼한연구는 접근방법과 자료활용 면에서 근대적 역사연구의 튼실한 토대가 되었다. 실학자들의 학문적 성과는 韓末까지 이어졌으며, 일제강점기에 전개된 일본인 학자들의 삼한연구에도 영향을 끼쳤다. 申采浩는 종족 및 지명이동설에 입각하여 삼한의 형성을 朝鮮族의 남하라는 관점에서 파악하여 삼한의 활동공간을 만주일대의 고조선에까지 소급하였다. 이후 鄭寅普·安在鴻 등의 민족주의사학자들 역시 前·後三韓의 이동을 중심으로 했던 丹齋의 삼한설을 전폭적으로 수용하였다. 地理考證을 중심으로 삼한문제에 접근했던 李丙燾의 연구도 실학자들의 역사지리 연구에 힘입은 바 크다. 실제로 한백겸의 ‘南北分野說’은 신경준과 한진서의 ‘辰國三韓說’로 계승되었고, 이병도는 이를 수정한 ‘辰國辰韓說’을 제기하였을 뿐 아니라 삼한을 이른바 後方行列사회와 구분되는 南方行列사회로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實學者들의 주요저술을 섭렵한 천관우의 삼한연구는 이병도의 실증적인 연구성과와 신채호의 ‘삼한이동설’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이해된다. 1960년대 이후 고고학 발굴성과를 삼한연구에 본격적으로 활용하고, 1970년 이후 국가형성론이 전개되면서, 오늘날 삼한연구의 지평이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조선후기 실학자 이래 꾸준히 축적되었던 연구성과가 밑거름이 되었기 때문이다.


Before the emergence of Silhak(Practical Lear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cus of scholars in Korea studying Samhan had been given on the succession from Samhan to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of Samhan by Chi-Won Choi was regarded as a doctrine through the Goryeo Dynasty down to the Joseon Dynasty. This traditional recognition of Samhan was challenged by Baek-Gyeom Han, who suggested the recognition of dual ancient Korea, dividing the ancient Korean history into the North and South; that is, Gojoseon in the North and Samhan in the South, bordered by the region of Han river, developed their history independently.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of the studies on Samh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Silhak scholas restored the historical reality of Samhan in terms of the historical geography; secondly, they approached the fact of Samh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ecognition system on ancient Korean history, which was based on Samhanjeongtonglon; thirdly, they developed objectively and positively the studies on the basis of collecting the abundant historical materials. Therefore, Not only did the studies of Silhak scholas expand the understanding about Samhan by overcoming the traditional recognition created by Chi-Won Choi, but they also can be connected to the modern history in terms of the methodology. The academical fruit of Silhak scholas was inherited up to Daehan Jeguk, and influenced even Japanese scholar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major studies carried out on Samhan in the modern and present era, for instance, Samhanidongseol by Chae-Ho Shin who tried to eridicate Sikminsahak, Jinhan-Jingukseol by Byeong-Do Lee who was based on the elaborate historical evidence, and the study on Samhan by Gwan-Woo Cheon who accepted the result of the both scholas mentioned above, they were all influenced by the studies of Silhak schol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