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함께 주의하기가 어떻게 발달하며 어휘발달과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를 종단적으로 검토하였다. 12개월, 15개월과 18개월에 함께 주의하기를 시도하기와 반응하기로 구분하여 비언어적 의사소통 척도(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 ESCS)로 평가하였고 어휘발달은 M-BCDI-K로 평가하였다. 시도하기는 영아가 다른 사람에게 함께 주의하기를 시도하는 행동으로 눈 마주치기, 시선교환, 가리키기, 눈 마주치기를 동반한 가리키기, 보여주기의 발생 빈도로 평가하였다. 시도하기의 전체 빈도는 월령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눈 마주치기와 같은 낮은 수준의 시도하기는 월령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가리키기와 같은 높은 수준의 시도하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응하기는 다른 사람의 함께 주의하기 시도에 영아들이 반응하는 행동으로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가리키기를 정확하게 따라간 정확률로 평가하였다. 반응하기의 정확률은 월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12개월에서 15개월 사이에 큰 변화를 보였다. 시도하기의 개인차는 15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안정되게 유지되었고 반응하기의 개인차는 12개월부터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함께 주의하기의 개인차는 어휘발달과 관련을 보여서 12개월 반응하기는 12개월 이해어휘와, 15개월 시도하기는 15개월과 18개월 이해어휘와, 그리고 18개월 시도하기는 18개월 이해어휘와 각각 상관을 보였으나 표현어휘는 함께 주의하기와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12개월과 15개월 함께 주의하기로 18개월 이해어휘를 종단적으로 예측한 결과, 12개월 반응하기와 15개월 시도하기가 18개월 이해어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This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joint attention and its relationships with language development in a group of 46 infants. At 12, 15, and 18 months of age, the infants' initiating joint attention (IJA)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were evaluated with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 whereas language development was evaluated with the M-BCDI-K. IJA refers to infants' ability to use eye contact, alternation, pointing, eye contact with pointing, and showing to spontaneously share experience. During the 6 month period, the infants displayed no changes in the total frequency of IJA. However, frequencies of lower level IJA such as eye contact tended to decrease whereas frequency of high level IJA such as pointing tended to increase. RJA refers to infants' ability to follow the direction of gaze and gestures of others. RJA was shown to improve with age, especially in the period between 12 months and 15 months of age. Individual differences in IJA displayed significant stability between 15 and 18 months of age while individual differences in RJA displayed significant stability across the entire 6 month period between 12 months and 18 months of ag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also demonstrated between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Data collected on infants at 12 months of ag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JA and receptive languag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observed between IJA at 15 months of age and receptive language at 15 and 18 months of age and between IJA and receptive language at 18 months of age. In regression analyses, RJA at 12 months of age and IJA at 15 and 18 months of age predicted significantly the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at 18 months of age, but none of the measures of joint attention were able to predict significantly the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at 18 months of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