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청소년들에게서 개인적 영역에 대한 부모통제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발달하고, 개인적 영역에 대한 부모통제가 청소년들의 심리적 증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들을 대상으로 부모통제를 이상적 및 실제적 통제로 구분하여 부모통제척도로 평가하였고, 심리적 증상은 간이정신진단검사로 평가하였다. 청소년들은 학년에 관계없이 관습적 및 혼합영역보다 개인적 영역에 속한 문제에 대해 자신들이 더 통제권을 가져야 하고, 실제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서 중학생들은 고등학생들보다 관습적 및 혼합영역에 대해서 부모가 더 통제권을 가져야하고, 실제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부모통제와 심리적 증상 사이의 관련성은 중학생들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고등학생들에서만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들과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은 부모가 개인적 영역의 문제를 많이 통제할수록 내재화 증상을 많이 보였으나, 부모의 관습적 영역에 대한 통제는 이들의 심리적 증상과 아무 관련성이 없었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ontrol over the problems in personal, conventional and overlapping domains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symptoms were examined.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completed a parental authority index and Korean Symptom Checklist-90-Revision. In the parental authority index, students evaluated two types of control, ideal and perceived control. Ideal control indicates who (they or parents) should control the problems in personal, conventional and overlapping domains whereas perceived control indicates who would control the problems in real world. In Korean Symptom Checklist, they reported nine psychological symptoms. Adolescents indicated that they should and would control over problems from personal domain and that their parents should and would control over problems from conventional domain. Perceived parental controls for personal domain onl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dolescents' internalizing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control of conventional issues and psychological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