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숙한 노화태도를 잘 늙는 것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로 정의하고 기존의 성공적 노화의 개념들과 심리사회적 성숙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숙한 노화태도에 따라 성공적인 노화와 심리사회적 성숙의 차이를 확인하고 성숙한 노화와 심리사회적 성숙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두 개의 연구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하여 60세 이상의 노인 719명과 3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1의 결과, 성숙한 노화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동작의 수행을 더 잘하고 인지기능이 높고 질환수도 적으며 사회활동을 더 많이 하고 삶의 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도구적 일상생활의 동작수행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숙한 노화태도 점수가 높은 노인들은 낮은 노인들 보다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문제가 적고 질환수도 적으며, 사회활동을 더 많이 하고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성숙한 노화태도가 높을수록 자아통합감, 초월, 지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한 노화태도 점수가 높은 노인들이 낮은 노인들보다 심리사회적 성숙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통합감과 초월이 성숙한 노화태도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 노인의 잘 나이들기에 대한 구성개념으로 성숙한 노화태도의 유용성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fine the attitude of mature ag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e aging attitude, successful aging, and psychosocial maturation. For these purposes, we conducted two different studies with 719 and 350 adults over 60 years of ag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ith higher mature aging attitudes reported better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less disease, more social activity, and better psychosocial well-being. Second, there were no age or gender differences shown in mature aging attitudes and psychosocial maturation; however, ego identity differed according to education, health status, and economic status. Furthermore, participants with higher mature-aging attitudes reported higher wisdom, ego integrity, and gero-transcendence than those with lower mature-aging attitud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ature aging concept in the well-aging model for Korean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