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 경험을 심리적 복합외상의 하나로 간주하는 외상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아동의 신체적 학대 경험과 반응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와 사회정보처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변수들 간의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516명의 자기보고식 설문 자료 중 연구자가 정한 신체적 학대 기준을 충족하는 1,19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검증 결과, 아동기의 신체적 학대 경험은 반응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크기는 다른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미치는 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신체적 학대 경험은 의도적 통제와 사회정보처리 각각의 매개를 통해서 반응적 공격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는 사회정보처리의 매개효과보다도 더 컸다. 특히 의도적 통제는 사회정보처리의 해석, 반응생성, 반응선정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의 신체적 학대 경험에 따른 반응적 공격성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과 특히, 새롭게 확인된 의도적 통제의 중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hysical abuse and reactive aggression. Emotion regulation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effortful contro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interest. Data was obtained from 1,1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5th- and 6th-grade who met specific criteria for physical abus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experience of physical abuse directly affected reactive aggression. The direct effect of physical abuse on reactive aggression was greater than the total indirect effects of other variables. Bot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effortful control served as mediator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 and reactive aggression.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was greater than that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effortful control appeared to influence all three stages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se finding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re discussed for decreasing reactive aggression among physically abused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a newly identified concept related to effortful control were also emphas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