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배우자가 있는 남성과 여성 338명(남자 132명, 여자 206)의 애착양식, 성격특성, 자기존중감과 낭만적 고독 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낭만적 고독은 안정형 애착, 호감성, 자기존중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몰입형 애착, 거부형 애착, 두려움형 애착, 정서적 불안정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향성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안정형 애착, 두려움형 애착, 호감성, 자기존중감은 낭만적 고독에 영향을 주며 결혼만족이 완전매개 하였다. 몰입형 애착과 거부형 애착 역시 낭만적 고독에 영향을 주지만 결혼만족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안정형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거부형 애착수준이 낮을수록, 두려움형 애착수준이 낮을수록, 자기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결혼만족을 경험하며, 결혼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낮은 낭만적 고독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attachment styl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mediato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romantic loneliness in a sample of participants (132 male, 206 female). Results showed that romantic lonelines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cure attachment, agreeableness, and self-esteem; loneliness was als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occupied attachment, dismissive attachment, fearful attachment, and neuroticism. No relationships emerged with extraversion. Secure attachment, fearful attachment, agreeableness, and self-esteem influenced romantic loneliness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Preoccupied and dismissive attachment also influenced romantic loneliness but onl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