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영적 안녕과 자아존중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비교적 많은 편이다. 그러나 신과의 관계를 다루는 종교적 안녕과 삶의 의미와 목적과 관계되는 실존적 안녕으로 구성되는 영적안녕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은 실존적 안녕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의 4개 하위영역의 점수가 모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종교적 안녕은 교사적응, 수업적응, 학교규칙적응에는 영향력이 없었고 교우적응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교사적응, 교우적응, 수업적응 점수는 더 높았으나 학교규칙적응 점수는 오히려 더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에서는 성적, 학년, 성별, 아버지학력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자아존중감뿐 아니라 영적안녕 특히 실존적 안녕을 증진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self-esteem on high 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hereas little research has assessed how spiritual (religious and existential) well-being affects school life adjustment.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high school students scoring high on a measure of existential well-being were able to adjust to school life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scores while religious well-being either did not influence school adjustment or was associated with deteriorated adjustment; (2) while students with high self-esteem adjusted to school life better than those with low self-esteem, those with high self-esteem tended to obtain lower scores on a measure of following school regulations; and (3)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e.g., academic record, grade, gender, and father’s education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clude elements intended to enhance existential well-being, as well as self-esteem,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for these findings are further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