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양육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조사하고 양육의 영역별 효능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양육에서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복합적인 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수준에 따라 군집화하고 영역별 양육효능감에서 이들 군집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437명을 대상으로 하여 양육에서의 내․외적 동기와 영역별 양육효능감(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내적 동기는 영역별 양육효능감의 모든 영역과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외적 동기는 일상체계조직, 훈육, 교육 영역의 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수준에 따른 군집은 네 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가운데 ‘내적 동기가 높고 외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평균이 대부분의 영역별 양육효능감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집단과도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어머니의 내․외적 동기가 양육효능감의 영역에 따라 다양한 관계성을 보이며 각각의 동기가 보이는 수준에 따라 양육효능감이 달라지는 것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양육 동기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를 생각해보게 한다.


This study purpo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parenting and their self-efficacy with regarding to nurturance, instrumental care, discipline, play, and teaching. Also, the two types of motivation can be activated in a complex way according to their levels. Cluster analysis revealed types of patents’ motivation based on the nature of motivation,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elf-efficacy. Mothers (N=437) completed questionnaires along with a parenting motivation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 (K-EGSCP), a scale for domain-specific self-efficacy in parent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intrinsic motivation and all the domains of self-efficacy were positive. However, extrinsically motivated mothers were likely to show low parenting self-efficacy in instrumental care, discipline, and teaching. The four distinct motivational groups were as follows: high intrinsic/high extrinsic motivation, high intrinsic/low extrinsic motivation, low intrinsic/high extrinsic motivation, and low intrinsic/low extrinsic motivation. A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the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on all the domains of self-efficacy with regard to pare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