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발달의 생태학적 관점과 누적된 위험(cumulative risk) 모형을 기반으로 빈곤 청소년이 일생 동안 경험한 양육자 변경 사건의 빈도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부모 및 또래 관계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의 대상자로서 경제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빈곤 청소년 317명을 대상으로 양육자 변경 빈도, 행동문제, 부모 및 친구 관계의 질에 관한 설문을 실시했다. 먼저 양육자 변경 빈도와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부모 및 친구 관계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양육자 변경 빈도와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는 부모와의 관계의 질에 관한 지각이 완전 매개했고 부모 관계와 친구 관계가 양육자 변경 빈도와 내재화 문제를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했다. 양육자 변경 빈도와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는 양육자 변경 빈도가 외현화 문제를 직접적으로 설명했으며 부모와의 관계의 질에 관한 지각이 부분 매개했고 부모 관계와 친구 관계는 양육자 변경 빈도와 외현화 문제를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은 그들이 경험한 양육자 변경 빈도가 증가할수록 부모와의 관계를 더 부정적으로 지각했고, 부모 관계에 관한 부정적 지각은 친구 관계에 관한 부정적 지각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은 더 높은 수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함의를 논의에 포함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er separation frequency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317 impoverished adolescents. We also investigated how perceptions of relationship quality with parents and peers mediated based on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the cumulative risk model. More frequent caregiver separ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xternalizing problems but was not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However, parental separ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were fully mediated by relationship quality with parents and peers. The link between parental separ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was partially mediated by one’s relationship quality with parents and peers. In sum, when adolescents experienced frequent separation from parental figures, they were more likely to develop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In turn,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s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