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또래아동들과 철자능력 수준을 비교하여 쓰기학습장애 학생을 진단할 수 있고, 동시에 아동의 철자 발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한글 철자 발달단계를 구성하는 철자유형을 선정하였다. 3차례에 걸친 예비검사를 통해 철자 발달단계를 구성하는 철자유형들을 검증하고 각 유형을 효율적으로 검사하는 단어들을 선정하여 최종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KDSA는 25문항의 음운유형 검사지와 30문항의 형태소유형 검사지로 구성되었다. 음운유형 검사에서는 연음, 기본초성/기본모음, 기본종성, 거센소리/된소리초성, w/y계열모음의 5개 철자유형에 대한 철자능력을, 형태소유형 검사에서는 대표음, 경음화, 이중모음, 격음화, 겹받침, 자음동화의 6개 철자유형에 대한 철자능력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KDSA는 전국 1,04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검사의 신뢰도 추정을 위해 문항내적일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문항내적일치 신뢰도를 보여주는 양적적률상관계수 결과와 다분상관계수 결과, 크론파흐 알파계수, 그리고 반분신뢰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KDSA는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검사임이 증명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iagnostic instrument to assess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spelling abilities, which can be used to identify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y. Based on a rigorous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three pilot studies, the 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 was developed. The KDSA comprised of two spelling tests: the phonological feature test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 test. The phonological feature test assessed students’ abilities in spelling five phonological features: liaison, initial consonants/principal vowels, aspirated/ tense consonants, final consonants, and w/y glides. Moreover, the morphological spelling feature test assessed students’ abilities in spelling six morphological features; simplification of final consonants, co-articulated tensification, co-articulated aspiration, consonant assimilation, compound consonants, and compound vowels. The KDSA was standardized with 1,049 students across the county. The results of point-biserial correlation, polychoric correlation,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split-half correlation revealed that the KDSA is a highly reliable measu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