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화자 정서조망에서 유아가 특정 단서를 선호하는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에서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3세 유아 67명과 만5세 유아 75명을 대상으로 얼굴표정과 메시지가 상충되는 5개의 화자 정서조망 과제로 구성된 실험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에서 통계처리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화자 정서조망에 있어 발화내용 보다는 화자의 얼굴표정에 더 큰 영향을 받았으며, 얼굴표정이 긍정적 정서를 표현할 경우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할 경우보다 더 영향이 컸다. 특히 얼굴표정이 기쁨을 나타내는 경우에 화자 정서조망에 참조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3세 유아는 특정 의사소통채널을 선호하지 않는 반면에, 만5세 유아는 특정 의사소통 채널에 대한 선호를 보여서 일관되게 한 가지 채널만 화자 정서조망의 단서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유아는 의사소통에서 발화 내용 외에도 비언어적 채널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of speakers in the interpretation of discrepant messages from facial and verbal information depending on children's age and representing emotions. Subjects were sixty-seven 3-year-old children and seventy-five 5-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four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task has ten circumstances of discrepant messages about speaker's emotion from facial expression and verbal content.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paired t-test, the goodness of fit, the multi-dimensional chi-squar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use of facial and verbal cues for speaker'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depending on children's age. 5-year-olds could use one specific communication channel consistently as a cue for speaker'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While 3-year-olds decided speaker's affective perspective without any rule using communication channel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use of facial and verbal cues for speaker'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depending on channels' presenting emotion. It seemed easier for children to interpret the facial expression when it present positive emotion like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