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가 기술한 아동의 성격강점 내용을 분석하여 그 대상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성격기술용어들을 추출해 보고, 추출된 용어들이 기존의 성격강점 분류체계인 VIA(Values in Action)에 비추어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특히 한국 고유의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남 소재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 183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성격뿐만 아니라 사소한 강점을 떠오르는 대로 기술할 것을 요구하였다. 부모가 기술한 아동의 성격 강점의 내용을 분석하여 아동의 성격 기술 용어를 추출하였으며, 그 내용을 근거로 기존의 성격강점 분류표인 VIA(Values in Action)에 비추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평소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성격강점을 기술하도록 하는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유사한 의미의 내용별로 묶어 범주화한 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아동에게서 추출된 성격기술용어는 60개였다. 이러한 성격기술용어들을 다시 기존의 성격강점 분류표에 따라 범주화한 결과, 60개 중에 기존의 성격강점 분류표에서 제시한 24개의 성격강점과 거의 일치하는 것은 58개였으며, 이 밖에 24개 어느 강점에도 분류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새로운 성격 강점으로서 여유와 무욕(無慾)의 2개의 성격기술용어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한편, 성격기술용어 차원에서 공정함이 전혀 지각되지 않은 것도 두드러지는 점이다. 특히 공정함 강점이 보고되지 않은 것은 가정이라는 울타리에서의 부모들이 아동의 공정함 강점을 지각하는데 제한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사회의 부모들이 자녀의 강점에 대해 기술할 때, 부모들이 지각한 문화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대표강점들로는 사회성, 친절, 자기조절, 유머, 활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빈번한 덕목은 인간애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에 따라서는 대표강점별로 사회성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우세하였으며, 그 밖에 친절, 자기조절, 유머, 활력 등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hether it was possible to discern distinct cultural differences from pre-existing classifications pertaining to strengths and virtues of Korean children as described in writing by their parents. 183 parents of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oungnam province were asked to describe any minor traits as well as the distinctive character strengths of their children. The character description terms referring to the children were then extracted after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e written parental descriptions. Based on these terms, categorical difference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e pre-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VIA(values in Action), and were then also assessed by gender. The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open-questionnaire, asking the parents to detail their children's character traits, was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content with similar meaning. Frequency analysis was then performed on these figures. As a result, 60 distinct character description terms were identified regarding Korean children. After categorizing these 60 terms according to the VIA, the known 24 groupings of character strengths were identified, as well as the additional character strengths of composure and generosity. The fact that Korean parents recognized all these traits in their children was an indication of cultural uniqueness. Additionally, the most common representative virtue was humanity and the five signature strengths were social intelligence, kindness, self-regulation, humor, and zest. According to gender, male children were found to be more socialized, while the other four strengths were more present in fem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