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우울성향, 우울 및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Mean=17.4 yrs; SD=1.75),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우울성향, 우울,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선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지위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감에 대한 ‘목표지향적인 집단’과 ‘혼란을 경험하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이론모형에 대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지위에 따라 AMOS를 이용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표지향적인 집단에서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우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혼란을 경험하는 집단의 경우는 어머니의 영향력 대신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지위형성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eparation-anxious &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depressive experiences (dependent & self-criticism depressive experience), depression, and self-esteem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us of an adolescents' self-ident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458 adolescents recruited from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M=17.4 yrs; SD=1.75)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the adolescents. Our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group whose self-identity status was goal-oriente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mpered their self-esteem, however, in the case of the group whose self-identity status was experiencing diffusion,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tended to obstruct their self-esteem. These findings underscored the differential pathway of both the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role and influences upon the development and attainment of adolescent self-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