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설아동의 개인적 변인(자아존중감, 정서지능)과 시설 관련 변인(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 지역사회와의 교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3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변인들 간의 관계성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t-검정, ANOVA, 사후검정(Duncan), Pearson의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설거주기간에 따라서는 오랜 기간 거주한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아동은 자아존중감, 정서지능이 높고,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며, 지역사회와의 교류가 활발할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는 시설 관련 변인인 시설의 심리적 양육환경 중 성원들 간의 관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 및 학교에서 특수한 상황에 놓여있는 시설아동을 양육하고 지도할 때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알려주고, 이에 대한 교육적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rsonal variable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stitution variables(institutional psychological nurturing environment,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y) associated with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and to provide data that can be used to help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6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who lived in a school's child care institut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ost-hoc analysis(Dunca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irls had higher degrees of school life adjustment than the boys. Moreover, institutionalized children who had lived for longer periods in an institution had higher school life adjustment levels than other childre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howed that a higher degree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institutional psychological nurturing environment, and active intera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the strongest predictor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was the variable of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of institutional psychological nurturing environment of institu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variables be considered to nurture institutionalize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