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가 익숙한 토정 이지함은 ≪토정비결≫의 저자이자, 천문ㆍ점술 등에 능하여 임진왜란을 예언한 기인(奇人)을 넘어 예언가로서의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많지는 않지만 ≪토정유고≫에서 확인되는 그의 기이한 행동과 처사로서의 삶을 자족하고 있는 듯한 모습에서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또 다른 것은 민생과 국부(國富)를 위해바다자원의 적극 개발과 교역과 유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모습이다. 백용(百用)의 중요성과 말업(末業)의 가치는 이후 박제가, 박지원 등 실학의 이용후생파의 논의와도 연결되고 있어 실학의 선구로, 북학사상의 원조로까지 적극 평가되고 있다. 우리는 이런 상반된 평가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전자는세속을 일탈하여 산천을 주유하며 은거하는 처사형의 삶이지만, 후자는 제도권은 아닐지라도 현실에 참여하여 민생을 위해 여러 방법을 모색하는 삶이기 때문이다. 한 사람에 대한 이중적 평가가 가능한것인가? 그에 대한 궤적을 추적할 자료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두 가지 평가에 만족할 수는 없다. 실학자 박제가(朴齊家, 1750∼1805)와 이규경(1788∼?)은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의 말을 인용하여 “이지함이 백성들을 가난에서 구제하기 위해 유구국 [오끼나와] 등의 외국 선박과 통상하고자 했던것을 왕좌지재(王佐之才)로 평가하였다. 또 다산 정약용은 토정이 아산현감으로 있을 때 양어장에서 백성들이 교대로 고기를 잡아 바치게 하는 폐단을 아예 그 못을 메워버려 후환을 영구히 끊어버렸음을칭송하고 있다. 이들이 18세기에 “땅과 바다는 민생을 위한 백용(百用)의 창고”라는 큰 틀에서 말업(末業)의 중요성을 강조한 토정의 사상에 관심을 가진 것은 실용과 일정부분 닿아 있다. 그렇지만 16세기 처사형 사림(士林)들은 제도권에 그렇지만 16세기 처사형 사림(士林)들은 제도권에 수용되지 못하는 사(士)라는 현실에서 굶주림에 허덕이며 고달픈 삶을 겨우 이어가고 있는 민생의 위한 고민과 방안을 그들의 입장에서 해소하고자 노력하였고, 그것이 토정과 같이 일견 기이한 행동으로 보였을 것으로보인다. 실학의 선구나 연원으로서의 시각은 보다 신중한 접근을 요한다. 이런 점에서 토정은 처사형 사림이 조선후기 사회와 민생을 위해 어떤 고민을 했으며, 어떤 대안을 모색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었다고 하겠다. ≪토정유고≫의 가치는 이런 처사형 사림의 삶의 모습에 대한 전형을 보여주는 자료라는 점에 있다.


We are already familiar with Yi Ji-ham, his pen name is Tojeong, the author of Tojeong-bigyeol. Skilled in astrology and the art of divination, he has surpassed the image of a mere eccentric who predicted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o show an actual prophetic side. Examining Tojeong-yugo,specifically instances of his strange behavior and exhibitions of self-sufficiency in a life of seclusion from his fellow man, we can easiy infer this. Tojeong-yugo also shows the emphasis he placed on advocating actively developing ocean resources, foreign trade, and national currency for the people’s welfare and the country’s wealth. The importance of practical and the value of real-life have been connected to the subsequent. The School of Profitable and Public Welfare; using Silhak as the lead-in concept, it has even been taken to be the underlying element of Northern Learning Thought. This opinion is simply appalling. While the former forsook normal life and behavior to roam among nature living as a scholarly hermit, the latter,while possessing no political power, lived his life concerned with reality and searching for various methods of improving the life of the common people. Is it really possible to have such diverging opinions on one person? Even with the lack of resources to track their exact movements,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judgments must be resolved. To quote Silhak scholars Bak Je-ga(1750∼1805), Yi Gyu-gyeong(1788∼?),and Ryu Hyeong-won(1622∼1673), “Yi Ji-ham, by suggesting trade with foreign ships from Okinawa to rescue the common people from poverty,was considered a man on the move. Also, Jeong Yak-yong praised Tojeong, who, in his capacity as governor of Asan county, stocked ponds from fisheries, thus warding off future troubles that would stem from the people giving all of their fish in trade. Concerning themselves with Tojeong’s ideolog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real-life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The earth and sea are a storehouse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they touched upon an aspect of Practical. They were faced, however, with the reality that Confucian scholars leading lives of solitary contemplation were people with no hope of being admitted to positions of authority; they therefore involved themselves in planning solutions to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mmon people suffering from hunger while barely getting through their exhausting lives. This can be seen in Tojeong’s saw eccentricities. One could hypothesize that they resulted from his being a man who obviously suffered on behalf of the people while groping for a solution to their problems. The value of Tojeong-yugo lies in its setting out a model of this as well as department disabilities based schola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