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검도의 동력학(動力學)을 알아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런 목적으로 검도의 본(本)에 내재된 원리를 구명(究明)한다. 본을 연구 소재로 삼은 이유는 본에 검도의 핵심 기술이 응축되었을 뿐만아니라 검도의 원리가 집약되었기 때문이다. 검도의 본에는 무심(無 心)과 평상심(平常心)이 작동기제로 내재되어 있다. 마음의 두 측면인 무심과 평상심은 둘로 분리되지 않는다. 무심은체(体)의 다른 표현이며 고요함을 특성으로 삼는다. 평상심은 용(用) 의 다른 표현이며 활동과 작용을 특징으로 한다. 체로서의 무심과 용으로서의 평상심은 불이문(不二門)의 관계이다검도 본의 중단(中段)은 무심의 표현이며, 철학 용어로는 “체”로묘사할 수 있고 고요함(靜)을 특성으로 한다. 검도 본의 기술 구사는 평상심의 발현이며, “용”으로 묘사할 수 있고 운동을 그 특성으로 한다. 검도의 본은 현상적으로는 동(動)/정(靜) 이분법으로 묘사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이분법을 넘어선다. 검도 본의 중단과 기술 구사, 정지와 활동의 원리는 “체/용, 무심/평상심의 불이문”으로 귀결시킬수 있다.


With the aim to examine the dynamics of Kumdo, this study explores the principle of the Bon (本) because the core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Kumdo are condensed in the Bon. No-mind (無心) and ordinary-life-mind (平常心) are the basic operating mechanisms of the Bon of Kumdo. It is unable to separate no-mind from ordinary-life-mind, the two aspects of mind: no-mind is also spoken of as the Essence (t’i, 體), which features calmness while ordinary-life-mind is spoken of as the Functioning (yung, 用), which features activity and action. No-mind as the Essence and ordinary-life-mind as the Functioning are in the relation of non-duality-gate (不二門). The middle part of the Bon of Kumdo is an expression of no-mind, and it may be likened to the philosophical term, the Essence, which features calmness. Commanding the technique of the Bon of Kumdo is out of ordinary-life-mind, and it may be likened to the Functionin), which features activity. The Bon of Kendo may be viewed in terms of dynamics (動) / calmness (靜) duality phenomenologically, but it goes beyond duality essentially. In conclusion, the middle part, techniques, and the principle of stand-still and activity of the Bon of Kumdo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non-duality-gate of the Essence / the Functioning and no-mind/ordinary-life-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