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다양한 평가 접근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평가 모형을 개발한 과정과 그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HRD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 연수를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본 연수의 핵심 이해관계자를 선정하고, 그들과의 면담 및 내부 자료 분석을 통해 기본 연수의 맥락, 목표, 내용 등을 이해하고 이해관계자의 평가 요구를 규명하였다. 둘째, 이해관계자의 평가 요구를 토대로 네 가지 평가 접근법(목표 지향 평가, 탈목표 평가, 활용 중심 평가, 논리 지향 평가 접근법)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평가 접근법들을 적용하여 기본 연수의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평가 준거와 평가 지표별 평가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HRD 프로그램 평가의 기획과 실행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ocess and results of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for HRD program by applying some evaluation approaches, that is, objectives-oriented, goal-free, utilization-focused, and theory-driven(logic model) ones, and discuss how relevant evaluation approaches were selected and why those approaches were used integratively for evaluating HRD program.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Basic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Korea Arts and Culture Service, in which experienced artists would be intensively trained for acting as professional instructor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This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 First, key stakeholders were identifi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program and draw evaluation needs from them. Second, four major evaluation approaches were chosen to reflect evaluation needs through talking with stakeholders. Third, using those approaches,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decided and specified, which resulted in a evaluation logic model. Several implications were then suggested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evaluation in the field of H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