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에우리피데스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에 대한 연구이다. deus ex machina는 에우리피데스가, 인간사에 개입하는 호메로스의 신들의 전통을 이어받아 전유한 극작술이다(<힙폴뤼토스>, <탄원하는 여자들>, <안드로마케>, <엘렉트라>,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 <헬레네>, <이온>, <오레스테스>, <박카이>). 작품들 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어떤 신이 기중기를 타고 나타나 드라마 전개에서 생겨난 아포리아aporia를 해결하고 이야기 줄거리를 전통 신화로 되돌려 작품을 종결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신은 인간사에 개입하여 이미 일어난 파국의 원인을 해명하면서 인간 등장인물들이 주어진 운명을 받아들이라고 설득하며 위로한다. 또는 신은 당장 발생하려는 파국을 막아내 인간 등장인물들을 구원한다. 하지만 신은 무엇보다도 개연성의 법칙에 따라서 해체될 위기에 빠진 전통 신화를 복구하는데 더 집중한다. 더욱이 신은 작품 자체가 제기하고 관객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대한 문제에 대한 대답은 회피하고 있다. 그래서 deus ex machina 이전에 전개된 인간 드라마와 deus ex machina가 복구하는 신화 사이에 괴리가 생겨난다. 그런데 이러한 괴리는, 작품 <오레스테스>를 분석하면, 결국 전통 신화를 배경(foil) 삼아 인간 드라마의 비극성을 강조하기 위한 에우리피데스의 극작술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구나 deus ex machina의 신의 무대 위 현현은 인간을 구원하려는 것이지만 오히려 낯선 신의 모습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신 존재와 인간 존재를 강렬하게 대조시킨다. 또한 deus ex machina의 신의 말과 어법은 희극적인 효과를 낳아 인간 드라마의 비극성을 한층 더 심화한다. 요컨대, deus ex machina는 인간 드라마의 비극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에우리피데스가 선택한 아이러니컬하고 역설적인 극작술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 study on Euripides’ deus ex machina. “A god from machine” has its origin in Homer’s Iliad and Odyssey in which a god intervenes into human affairs to save human characters from catastrophe (e.g.Il.1.188-214, Od.24.502-48). This deus ex machina is represented as a dramatic concept in repetition and variation in Euripides’ dramas: Hippolytos, Hiketides, Andromache, Electra, Iphigenia among the Taurians, Helene, Ion, Orestes, Bacchae. Despite differences of representation of deus ex machina and its meaning, it is fair to say that a god/goddess appearing upon air by means of a crane intervenes to solve the aporia present in the development of plot and puts an end to the play. Either the god/goddess explains human characters of the reason why the catastrophe happened and so consoles them into accepting human fate, or he/she prevents an imminent catastrophe from happening. None the less, the god/goddess turns out to be rather concerned in restoring the nearly dissolved core of traditional myth to its whole content and, more surprisingly, avoids answering any serious question that the play proper tends to raise and the audience is concerned about. Consequently, there arises a striking discrepancy in plot between human drama (developed right before the god’s intervention) and traditional myth (to which the god restores the nearly dissolved core of myth). A more careful investigation on the plot structure of Orestes reveals that the deus ex machina attached to the human drama is dramaturgically designed to highlight the tragic sense of the human drama. Moreover, Apollon’s epiphany has the ironical and paradoxical dramatic function of sharpening the contrast between divine being and human existence; his word and diction contribute to create comic effect, thus intensifying the tragic sense of the human drama. In conclusion, Euripides’ deus ex machina is an ironical and paradoxical dramaturgy which aims to elevate the tragic sense of human exis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