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예수가 여행길에서 함께 나눈 식탁교제의 실천(행위전승) 이 그에 관한 비유(말씀전승)와 구조적으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점검해 봄으로써 예수의 여행과 경험 그리고 이에 관한 통찰과 직관이 비유를 창작하는 데 어떻게 기여했는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려 한다. 예수가 실제로 식탁에서 꿈꾸고 가르친 하나님 나라의 이상과 실천이 어떻게 비유가 되었는지, 비유의 이야기 세계는 예수의 실천 및 현실경험으로부터 왔는지 여부를 알아보려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우선 예수의 여행과 식탁교제에 대한 확실한 사항들을 살핀다. 구체적으로는 행색의 지침과 방랑의 라이프 스타일을 점검한 후 식탁교제의 여러 측면들을 구조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특별히 누룩의 비유와 항아리의 비유를 해석한다. 이 두 비유는 30개남짓 예수의 비유들 가운데 매우 특별한 것으로서 모두 여성을 소재로 할뿐만 아니라 방랑의 콘텍스트에서 발생했을 예수의 식탁교제를 다룬다. 각각의 비유를 해석할 때엔, 주석적 작업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식탁교제를 비유의 정황으로 설정하고 갈릴리 마을 예수의 상황과 비유 내용 사이를 긴밀하게 연결시킬 만큼 상상과 성찰을 시도할 것이다. 해석과 논의는일관되게 비유 등 예수의 말씀이 ‘기록문화’(writing culture)가 아니라 ‘구술문화’(oral culture)에 속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historical Jesus. This article explores Jesus’ practice of table fellowship and interprets his two parables, the Leaven (Matthew 13:33; Thomas 96) and the Empty Jar (Thomas 97), both dealing with the same subject. Presupposing that Jesus was a person of oral culture, this study tests how his experience of a wandering and hospitable table fellowship affected him in composing those parables.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either that a certain great hospitality by a woman became a script of the parable for Jesus. Identifying that a jar is a body and a body a jar, this study suggests that Jesus put his autobiography into the parable of Empty Jar. When Jesus began his journey he was full of spirit and energy, but the more he practiced his power for healing and did people good, the more he was exhausted. This article emphasizes again and again the importance of Jesus’ experience of wandering and table fellowship not only composing the parables but also in interpret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