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존 하워드 요더의 관점에서 한국교회의 신뢰도 위기의 원인을 분석하고, 신뢰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요더의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이 중요한 것은 그의 윤리학이 주류신학 전통이 가지는 신학적 문제점들을 통찰력 있게 분석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주류신학 전통의 근본문제를 서구교회의 콘스탄틴주의에서 찾고 있는데 그에게 있어서 콘스탄틴주의란 교회와 세상의 동일시 또는 융합의 현상을 의미한다. 서구교회의 문제들의 뿌리로서 콘스탄틴주의는 한국교회의 문제를 분석하는데도 매우 유익한 준거점이 된다고 본다. 한국교회의 문제가 서구교회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의 신뢰도 위기는 근본적으로 콘스탄틴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교회의 콘스탄틴주의적 특성으로 인해 한국교회는 예수의 인간성과 제자도의 모델로서의 예수를 희생시키고 예수의 신성만을 강조하게 되었고, 하나님 나라 복음의 혁명적 특성을 상실한 채, 세상 질서를 지지하는 현상유지의 종교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한국교회는 결국 세속가치 와 세속권력의 포로가 되고 말았고, 그로 인해 한국교회는 한국 사회로부터 불신을 받게 된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으로서 교회위기의 근본 원인인 콘스탄틴주의로부터의 탈피를 주장한다. 이런 전제 하에 신뢰 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탈콘스탄틴적 기독교 정체성을 회복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1) 개인구원의 복음에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으로의 전환의 과제, 2) 속죄론 중심의 기독론에서 통전적 예수론으로의 전환의 과제, 3) ‘오직 믿음’의 신앙에서 ‘예수 따름’의 신앙으로의 전환의 과제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for which Korean Church are discredited and suggest its alternative in terms of Ethics of J. H. Yoder. His ethical perspective is important, because he analysed problems of mainstream churches insightfully. He finds fundamental problem of mainstream churches in constantinianism. For him constantinianism means the identification of church and world. And it also can be a very helpful criterion for analyse problems of Korean Church, because problems of Korean Church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churches. The cause for which Korean Church are discredited is also constantinianism, because owing to Korean church’s constantinian characteristics it lost the Gospel’s revolutionary character which overturns values of the world and it came to emphasize divinity of Jesus and victimize Jesus’ humanity and lose Jesus as the model of discipleship and then eventually christianity became the status quo religion which supports world order as it is. Thus the Korean Church came to be a prisoner of secular values and powers and was discredited by tha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I suggest the breaking from constantinianism as fundamental solution for overcoming Korean Church crisis, because it is the cause for which Korean Church are discredited. And I suggest the recovering of the identity of post–constantinian Christianity. The essential tasks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the task of the conversion from the Gospel of individualistic salvation to the Gospel of God’s Kingdom. 2) the task of the conversion from atonement–centered Christology to wholistic Jesusology. 3) the task of the conversion from the faith of ‘sola fide’ to the faith of following Je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