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통합환경 상황에 적절한 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학교언어치료사가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지원 모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두 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상황에 적절한 학교언어치료 서비스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언어치료 서비스를 오랜 기간 제공해 온 외국의 다양한 모형을 조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학교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지식과 욕구에 대해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언어치료 서비스 요구는 무엇이며, 언어치료사와 교사들이 갖추어야할 요건과 학교 상황에서 언어치료 모형의 적용 시 예상 가능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특수학급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운영 가능한 모형으로 대상 학생을 위한 개별적인 언어치료 서비스와 언어치료사가 교사에게 언어치료에 관한 전문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간접지원의 병행을 제시하였다. 교사와 언어치료사의 전문적인 지식과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협력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행정가의 치료실 마련과 같은 행정적 지원과 치료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성공적인 학교 내 언어치료 서비스의 주요한 요건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큰 흐름이라 할 수 있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학교언어치료사 제도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현 시점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pose a school-based, speech therapy model that was appropriate to the Korean situation through a two-stage research methodolog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irst to examine a variety of school-based, speech therapy models suggested in other countries and thus survey the knowledge and needs of special educators about speech therapy. The survey investigated th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on speech therapy needs, required qualifications for both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and problems of the school-based speech therapy. The special educators suggested a combination model integrating the direct speech therapy model (in which a speech therapist treats students on an individual basis) and the indirect speech therapy service model (in which a speech therapist collaboratively consults teachers about speech therapy). Other results indica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speech therapists based up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ongoing communication rated importantly. Further, administrative supports such as arranging a therapy room and rais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rapeutic service were also suggested in order to provide school contexts with speech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