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실문법증을 보인 브로카 실어증 환자 10명의 자발적 발화와 그림 묘사 및 동화 재현을 통한 구조적 발화에 나타난 내용어와 기능어의 산출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표현언어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기능어보다는 내용어를 자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어증 환자들은 내용어 중에서도 명사를 가장 빈번히 산출하였으며, 이는 또한 정상인에게서도 마찬가지였다. 환자들은 내용어 중에서 형용사를 가장 적게 산출하였다. 특히 동사의 산출 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는데, 정상인과 비교 시 산출된 동사 수에 비해 오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환자들은 실제로 명사를 가장 빈번히 산출하였으나, 명사에서는 더 적은 오류를 보였다. 실어증 환자들에게서는 음소착어증보다 의미착어증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이런 현상은 환자보다 더 적은 오류를 보인 정상 성인에게서도 마찬가지로 관찰되었다. 실어증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기능어를 더 적게 산출하였지만, 자발적 발화나 구조적 발화에서 기능어를 사용할 능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발화에서 두 집단이 산출한 기능어의 비율은 별 차이가 없는 반면에, 자발적 발화에서는 두 집단간 기능어의 산출 빈도에 차이를 보였다. 실어증 환자들에게서는 기능어의 생략 오류 뿐만 아니라 대치 오류도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오히려 기능어를 대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정상인의 경우 대치 오류가 전반적으로 우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문법증 환자들이 산출한 표현언어를 토대로 내용어와 기능어의 산출 빈도 및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agrammatic production of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in Kore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n Broca aphasics having prototypical agrammatic speech production and ten normal adults were selected. The methods and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come from Menn & Obler(1990), who provided a consistent format to describe agrammatic produc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pontaneous speech and structured speech: telling the history of an illness, telling of a popular folktale, completion of a picture action and using the modified Wechsler-Bellevue stories. A comparison of the controls with the patients revealed interesting differences. The number of total word produced by aphasics was lower than the controls; reduced variety and simplification of syntax were also observed.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 word was much higher for the aphasics than the controls on their spontaneous speech. Nouns were the most commonly produced words by the aphasics and the controls. Although both groups produced more nouns than verbs, the aphasics made more errors with verbs than nouns in the free interviews and the narrative elicited tasks. Adjectives were produced less often in the open class words. The agrammatic production was more often distorted by semantic paraphasia than by phonemic paraphasia. The function words were substituted more by both the agrammatic patients and the controls, even though the closed class elements were omitted. For the function words, the controls had higher rates of substitution than did the agrammatic patients. Overall, the results from the word production in Korean agrammatic patients showed similar patterns as was reported by Menn & Obler(1990). However, some symptoms(e. g. more semantic paraphasia and more substitutions) seem to have a different pattern in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