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생활연령 4;0~5;11세의 피학대아동과 일반아동의 구어 의사소통의도 산출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집단은 피학대아동 10명, 생활연령일치 일반아동 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놀이들을 통해 수집된 전체 6,656개의 발화에서 나타난 의사소통의도를 홍경훈․김영태(2001)의 7가지 범주(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시지 수신표현, 구성요소, 발전된 표현)에 따라 분류한 후, 각 집단이 산출한 의사소통의도의 전체 발화수와 범주별 발화수 및 범주별 출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피학대아동집단은 전체 의사소통의도 발화수 및 7가지 범주별 의사소통의도 발화수에서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수의 발화를 산출하였다. 둘째, 범주별 출현율에 있어서 두 집단간에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발전된 표현’ 범주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 가운데 오직 ‘반응하기’ 범주의 비율은 일반아동집단보다 피학대아동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높았다. 그러나 7가지 범주들 간의 출현 순위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피학대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전체 의사소통의도에서 차지하는 각 범주별 우선 출현 순위에 있어서만큼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의도의 산출 자체가 일반아동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자신의 의사를 다양한 의사소통의도 범주들을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단지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방식 위주의 의사소통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erbal communicative intentions of maltreated children to those of chronological age(CA)-matched normal children. Methods: A total of 20 (10 maltreated and 10 CA-matched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structured play contexts, 6,656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even categorical communicative intentions. A t-test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First,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of communicative intentions and the number of each categorical utterance of communicative intentions of the maltreate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children. Second, in the proportion of categorical utteranc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categories except for ‘acknowledgement’ and ‘organization device’. Of the five categories th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the proportion of ‘response’ of the maltreate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order of the seven categorical intentions. Discussion & Conclusion: From th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when interacting with a partner, maltreated children use communicative intention by the same categorically order as normal children, but maltreated children speak little and are more dependent on an inactive manner of communication than normal children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