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아직까지 우리글 읽기에서 음운변동이 포함된 단어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거나 그 효과가 검증된 바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읽기중재 프로그램들을 응용하여 개발, 적용한 뒤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대상은 모두 정신지체로 언어발달과 읽기발달이 지체된 중학생이었다. 훈련목표는 경음화, 구개음화, 유음화가 적용된 단어로 하였으며 중재프로그램은 다감각접근법을 수정하여 5단계의 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다감각접근 응용프로그램이 세 아동의 경음화, 구개음화, 유음화 변동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세 아동 모두 음운변동 적용 읽기기술이 비훈련단어에도 일반화되었다. 셋째, 기초선과 비교할 때에는 유지기간의 수행이 개선되었으나, 훈련기간의 습득수준과 비교하여 볼 때 세 아동 모두 수행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중·고등학교 읽기장애 아동에게 개별화된 목표를 통해 다감각접근 응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유지 수준은 정신지체로 인한 읽기장애 아동들에게는 반복훈련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어 고유의 특징을 반영한 읽기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교에서의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ew combining multisensory reading treatment program for teaching the specific Korean phonological processe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aused by mental retardation. Methods: The new program is a combination the multisensory(AVK: Auditory, Visual and Kinesthetic) approach, the wholistic approach and metalinguistic approach. When reading aloud, phonological processes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understand and transmit the meaning of the words. The targets of treatment for reading pronunciation with the phonological process were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The participants were three children with reading pronunciation difficulties in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treatment and generalization effects. Results: First, all three children improved on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by the new combining multisensory reading treatment program. Second, it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generalization on untrained words. Three children presented prominent generalization effects in lateralization. Third, the children were found to maintain partially their performance rates of the later phase of the reading with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three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train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of developing specialized Korean reading treatment program and individualized reading treatment in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