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Mazes는 언어적 비유창성(linguistic disfluencies)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mazes를 측정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의 ADHD아동 15명과 정상발달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다시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mazes의 빈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의 총 C-unit 수, C-unit 당 평균어절길이, 총 어절 수, 총 mazes 빈도, mazes 비율과 100어절 당 mazes 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mazes의 유형을 간투사(fillers), 반복(repetitions), 수정(revisions), 휴지(silence pause), 그리고 기타로 분류하여 유형별 mazes 비율과 100어절 당 mazes 유형별 빈도 및 총 mazes 빈도에 대한 유형별 상대적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ADHD아동은 정상발달아동에 비해 C-unit 수가 유의미하게 적었지만 C-unit 당 평균어절길이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00어절 당 mazes 빈도는 ADHD아동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특히 간투사와 반복의 빈도가 정상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많았다. 논의 및 결론: ADHD아동은 정상발달아동에 비해 더 많은 수의 mazes를 산출하였고 간투사의 비율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Mazes는 ADHD아동의 언어 계획과 조직화 및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하나의 표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azes in stories retold both by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by their normal peers. Mazes were considered to represent linguistic disfluencies. Methods:Thir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1~3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15 were nomal developing children and the rest were diagnosed with ADHD. The intelligence quotients (IQs)and language development of all participants fell within normal rang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tell a story after it had been presented auditorily by the examiner. The transcripts of the children's storie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measures, including the number of C-units, the mean length of a C-unit by word, the number of mazes per 100 unmazed words,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the different types of mazes. The types of mazes included fillers, repetitions, revisions, silent pauses, and others. Results: The children with ADHD produced mazes more frequently than the normal children. Specifically, the children with ADHD produced fillers and repetitions more frequently than their normal pe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frequent production of mazes in children with ADHD may reflect their underlying difficulties in planning,organizing and executing discourse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