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과대비성에 대한 청지각적 반응 정도는 과대비성의 중증도와 언어적 배경 즉, 모국어의 음운론적 속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과대비성 지각에 대한 교차 언어적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점차로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들을 대하는 언어치료사들에게 임상적으로도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에 청자의 과대비성의 지각 정도가 언어권에 따라서 그리고 화자의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중 언어 사용자 중 일본어와 한국어, 중국어와 한국어, 베트남어와 한국어, 필리핀어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는 집단 그리고 한국어만을 사용하고 있는 단일 언어 사용자 집단 등 5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자인 대상자들이 한국어로 산출된 과대비성의 녹음된 목소리를 듣고, 들은 목소리에 대해 과대비성 지각 정도를 5점 Likert scale로 평가하게 하였다. 과대비성 지각에 있어 중증도 및 언어권에 관한 주 효과 검증 및 이차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하였다.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른 언어권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요인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중도의 과대비성의 경우에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살펴보았다. 결과: 과대비성 지각에 있어 주 효과가 중증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언어권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중증도와 언어권에 관한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중도 과대비성의 경우에만 언어권별 과대비성지각에 차이를 보였고, 경도의 과대비성일 경우에는 언어권별 과대비성 지각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 과대비성을 들을 때,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베트남의 5집단 중에서 베트남이 한국과 일본에 비해 유의하게 콧소리가 나지 않는 것으로 지각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 중도 과대비성에 대해 언어권에 따라 다르게 지각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공명 장애를 가진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언어 치료 중재 시에 고려되어야 할 언어적 문화적 배경의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 되어질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Hypernasal perception is affected by the severity of hypernasality of the speaker and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listener, including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language. Diversity of the linguistic background is gaining interest with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regarding perception of hypernasality according to listener linguistic background and speaker hypernasality severit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monolingual Korean and bilingual Korean-Japanese, Cantonese, Filipino, and Vietnamese listeners. A total of 49 female listeners from the five language groups rated voices with mild or severe hypernasa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nguistic background and hypernasality severity. A five-item Likert scale was used to rate the degree of hypernasality. Results: In repeated measures ANOVA, a main effect of speaker hypernasality severity was observed, while a one-way ANOVA indicated the effect of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listener. Results also indicate that bilingual Vietnamesese, Filipino, e phonetic chaseverity of hypernasality as more mild than did the other language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hypernasality perception was differently rated according to the listener linguistic backgroun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clinicians not only about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background, but also about priority intervention in speech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