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읽기에서의 음운해독력 발달을 살펴 언어읽기장애 아동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6학년 아동 300명을 대상으로 2음절로 이루어진 낱말 68개를 제시하여 아동의 음운해독력을 측정하였다. 의미유무에 따라, 자소-음소 일치여부에 따라, 음운규칙에 따라 학년집단별로 발달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초등학교에 재학한 학령기 아동은 초등저학년이 초등중학년, 초등고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무의미낱말보다 의미낱말에서, 자소-음소 불일치낱말보다 일치낱말에서 수행력이 높았으며, 불일치 낱말만 분석하였을 때에도 의미낱말에서 수행력이 더 높았다. 음운규칙별로 살펴보았을 때 된소리화 규칙이 일찍 발달하고, 비음화, 기식음화, ㅎ탈락 규칙이 초등저학년에서 초등고학년으로 갈수록 오류율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며, 설측음화와 구개음화 규칙은 초등고학년에서도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아동은 학년이 증가하면서 낱말에서의 음운해독력이 발달하며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은 초등고학년까지 발달이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유무, 음운규칙 적용여부에 따라서 다른 수행력을 보이며 음운규칙의 종류에 따라 발달의 시기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언어읽기장애 평가 및 중재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decoding development in Korean children in word reading and provided guideline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word reading ability. Methods: Three hundr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luding three developmental grade group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requested to read 68 two-syllable-words, considering meaning familiarity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Six representative phonological rules in Korean word reading were measured. Results: Generally, Korean children read meaning words better than they did nonsense words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better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First- and second-graders performed poorly compared to third-grade and higher groups. Among the six phonological rules, tensification was acquired ear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grades, with the rules, nasalization, aspiration, and h elision developing later. Interestingly, the lateralization and palatalization rules seemed to still be developing in all of the tested children. Discussion & Conclusions: The word reading ability of Korean children showed universal patterns in meaning dependency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Given that the Korean language is highly transparent in spelling, it is interesting that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were still developing decoding a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lateralization and palatalization ru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guidelines to assess and improve word read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