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 성취도의 기저에 관여하는 인지적 변인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어 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읽기이해 성취도에관한 종단적 예측력을 지닌 변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개월 간 추적 검사를 실시하여 읽기이해 성취도에 대한 예측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학년(77명)과 4학년(83명) 학생을 대상으로 예측 변인 검사(어휘, 듣기이해, 빠른 자동 이름대기 등)를 실시하였고, 8개월 후인 1차 추적 검사 시에는 2학년(70명)과 4학년(71명)학생을 대상으로 종속 변인 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KISE-BAAT] 짧은글 이해검사)를 실시하였고, 20개월 후인 2차 추적 검사 시에는 2학년(60명)과 4학년(66명) 학생을 대상으로 종속 변인 검사(KISE-BAAT 짧은글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추적 검사 결과, 2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를예측하는 변인은 어휘와 문장 순으로 나타났으며, 4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어휘와 듣기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차 추적 검사 결과, 2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어휘로 나타났으며, 4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를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어휘와 문장 순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어휘가 읽기이해 성취도에 대한 종단적 예측력을 갖는 가장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과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A bulk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on cognitive variables underlying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which examine the longitudinal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longitudinal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in grade 2 and grade 4 through the 20-month follow-up test. Methods: Seventy-seven 2nd graders and eighty-three 4th graders were examined for predictor measures (e.g., vocabulary, listening comprehension, rapid automatized naming). Seventy 2nd graders and seventy-one 4th graders were reassessed on reading comprehension measur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KISE-BAAT)-passage comprehension after eight months. Sixty 2nd graders and sixty-six 4th graders were reassessed on reading comprehension measured by KISE BAAT-passage comprehension after 20 month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ocabulary and sentence repetition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comprehension 8 months later for 2nd graders; vocabula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comprehension 8-month later for 4th graders. Second, vocabular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comprehension 20 months later for 2nd graders; vocabulary and sentence repetition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eading comprehension 20 months later for 4th graders. Conclusion: To summarize, vocabulary was the strongest longitudinal predictor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being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