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음성장애 아동은 음성치료실뿐 아니라 모든 언어치료실에 내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 음성장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를 통해 숙련된 전문가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이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아동 음성장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방법: 10년 이상 아동 음성장애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해온 음성장애 전문가 5명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순환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음성치료실에 내원하는 음성장애 아동은 전체 중 20% 정도이며 남자아동이 여자아동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성대결절을 진단받은 아동이 주를 이루었으며 음성오남용이 주된 원인이었다. 2) 음성평가 시 성인 환자와 같이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청지각적 평가 및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기부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대개 심각한 증세를 보이는 경우가 더 많음을 참고해야 한다. 3) 아동 음성치료로 음성위생 및 교육, 발성법의 수정 및 개선, 다감각적 자극의 활용을 중점적으로 시행하였다. 아동의 수준에 맞는 설명과 아동에 맞는 세부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치료 종결은 완전한 병소의 제거가 아닌 긴장의 완화 및 스스로 통제 가능한 경우를 기준으로 두고 있다. 4) 아동 음성장애의 예방을 위해 부모 및 교사의 교육이 필요하며 음성장애를 전공한 치료사의 경우 경험을 축적하기 위한 꾸준한 치료가 필요함을 전하고 있었다. 음성장애 비전문가는 최장연장발성시간 측정과 간단한 청지각적 평가로 아동의 문제를 판단할 수 있으며 비정상 소견을 보일 경우 이비인후과 의뢰 후 직접 치료하거나 음성치료전문가에게 의뢰하도록 권했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수준에 맞는 음성장애 평가와 치료가 필요하며, 음성장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아동이 음성문제를 가지고 치료실에 내원할 때 음성문제의 평가 및 치료를 시도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음성 문제뿐 아니라 기저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to share and to enlarge the knowledge and concepts of child dysphonia by qualitative study with the experts on voice disorders. Methods: Five experts on child dysphonia beyond 10 years of professions careers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circular comparing analysis. Results: Child patients with dysphonia who entered voice clinics were about 20% of all the patients, and the boys were 3, or 4 times more than the girls. Most of them were diagnosed as vocal nodules, and the primary etiology was voice abuse and misuse. The acoustic, aerodynamic, auditory-perceptual, and endoscop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Experts no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e children’s poor motivation and severe symptoms in evaluating them. For the treatment, vocal hygiene and education, modification of vocal behaviors, use of multisensory feedback were emphasized. When the child can successfully produce the voice with ease and can control his or her own voice, the treatment will be terminated. For prevention,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and teachers were advised. If non-experts were visited by child with dysphonia, measuring the maximum phonation time and rating the auditory-perceptual scales were recommended. If the child shows the abnormal signs, referral to laryngologists and voice therapy experts, or treatment on his/her own could be recommended. Conclusion: We should evaluate and provide a treatment for the children with dysphonia appropriately based on their severity levels and characteristics. Also, we should consider the underlying personality features as well as the voice symptoms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