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그림-단어 간섭과제에서 범주 일치 여부에 따라 의미처리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 았다. 방법: 실험 과제는 표적자극(그림)과 방해자극(글자)이 같은 범주에 속하는 조건(범주 일치 조건)과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조 건(범주 불일치 조건)으로 구성하였으며, 참가자에게 방해자극을 무시하고 표적자극의 이름을 명명하는 그림-단어 간섭과제를 수행하 도록 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범주 일치 여부에 따른 그림-단어 간섭과제의 정반응 점수에서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다소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노인 집단의 경우 범주 일치 조건에서 낮은 정확도가 관찰되었다. 이 같은 차이는 반응시간 측정치에서 더 두드러져 노 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범주 일치 조건이 범주 불일치 조건에 비해 처리 속도가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청년/노인)과 범주 일치 여부(일치/불일치)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범주 일치 조건에서 유발되는 간섭효과가 노인 집단에서 상대 적으로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이 같은 결과는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그림-단어 간섭과제에서 목표자 극에 주의를 유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더 낮은 의미처리 수행을 보이게 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lderly groups are able to do semantic processing during a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and whether their semantic processing is more affected by words in the same category or different categor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 younger adults and 15 normal elderly. The tasks were composed of conditions where the target stimulation and distractive stimulation were in the same category or in different categories. The tasks were composed of a total of 30 questions. On the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participants were supposed to name the pictur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the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the accuracy of response of the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younger group. Second, the reaction time of the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slower, but both groups had a longer reaction time in the same category condi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group had more interference effects than the younger group. Although both groups resolved interference, the reaction time of the elderly group was slower. But in the same category condition, both groups had a longer reaction time than in different category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