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부진 아동의 쓰기수행력과 작업기억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결함이 쓰기수행력과 관련이 있으며, 상위인지를 요구하는 쓰기 활동과 작업기억이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따라 읽기부진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을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중인 읽기부진 아동 14명과 학년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4명이었으며, 이야기 쓰기를 통해 쓰기수행력을 알아보았다. 작업기억은 읽기 폭과 집행적 주의를 평가하는 두 가지의 과제로 평가하였다. 결과: 읽기부진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쓰기에서 유의하게 짧은 평균문장길이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전체 낱말 수와 다른 낱말 수 평가에서는 어휘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작업기억 측정에서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폭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집행적 주의에서도 읽기부진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쓰기수행력은 집행적 주의와 상관을 보였다. 논의및 결론: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평가 및 중재 목표의 설정을 위해 짧은 평균문장길이에 대한 주의와 더불어 작업기억에 대한 측정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riting performance capabilityand working memory capacity of school-age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Methods: Atotal of 14 poor reader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nother 14 typically developing pe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writing performance ofthe participants was evaluated with a narrative-evaluation. Working memory was assessedwith 2 different tasks focused on reading span and executive attention. Results: In theirwriting, the poor readers produced significantly shorter mean length of sentence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 Regarding the working memory measurement,the reading span of the poor rea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sults as well. In addition,the results of the Stroop color-word test measuring executive attention reported that poorreaders made lower scor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riting performanceand executive attention are related. Poor readers should receive help to improve their meanlength of sentences and working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