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회에서의 의원입법과 혼합입법의 처리속도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 좌우되는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국회에서의 입법안을 14대 국회에서부터 17대 국회까지(2007년 10월) 조사한 결과 최근 국회회차로 올수록 의원입법안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14대국회부터 17대국회까지 국회에서 발의되어 처리된 의원 및 혼합입법 제정안과 개정안의 국회에서의 처리속도에 관한 자료를 조사하여 회귀모형을 개발하고 t검증 이라는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회귀모형의 분석결과 의원입법의 경우 제정안과 개정안에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의원입법 제정안의 경우 의미 있는 발견들이 있었지만 개정안의 경우 R2값이 너무 낮은 관계로 회귀모형의 분석결과에 거의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제정안의 경우 의원입법의 국회에서의 처리속도는 국회회차별 처리법률안의 수, 의원입법 발의안에 동참한 국회의원들의 수, 법안의 발의시기, 국회에서의 여야의원비율 등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혼합입법에 대한 분석 결과 제정안의 경우 국회에서의 처리속도는 법안의 발의시기, 국회에서의 여야의원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정안의 경우 처리법안의 수, 혼합입법 발의안에 동참한 국회의원들의 수, 국회에서의 여야의원비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a research to find determining factors affecting the passing time of a legislative and government-legislative bills. Results of data analysis on legislative bills from 14th to 17th National Assembly show that the number of legislative bills has risen sharply. In order to find those reasons, we develop some hypotheses using several factors to affect the passing period of legislative bills and government-legislative bills and test them through the regression and t-test.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d t-tes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w bills and revised bills. This paper found meaningful results from the analysis about new bills. This paper found 4 factors to determine the passing time of a legislative and government-legislative bills. They include the number of legislative bills during the each period of a national assembly, the number of assemblymen who was participating in presenting legislative bills, the presenting time of legislative bills, and assemblymen ratio of a government party and opposition p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