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국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7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해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 역할과다가 직무만족을 거쳐 소진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할과다와 직무만족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특성은 소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직무만족을 매개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복지 인력의 수급・운용 제도 정비, 슈퍼비전 및 교대근무제 정례화, 여가시간 확보, 재교육 강화, 수당 및 급여체계 개선, 고용보장 강화, 조직 내 개방적인 의사소통 문화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urnout process through social workers’ job characteristics and role overload beyond the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3 social workers at the Social Service Faciliti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s) was employed. As the result of analysis, role overload and job satisfaction have directly influenced burnout, but job characteristics have not instead indirectly affected burnout as a parameter. In order to reduce social workers’ burnout, this study would suggest several alternatives: standardization and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work, manpower expansion for social workers, regular supervision and shift systems, reinforcement of re-education, improvement of payment and salary system, guarantee of job security, open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