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함경도 방언에 나타나는 담화표지 ‘응’과 ‘야’에 대해 살펴보고 그 통사적 특성과 담화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방언의 담화 자료를 가지고 기존의 논의 및 외래 이론과 결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선 통사적으로 담화표지 ‘응’과 ‘야’는 문장의 수의적인 성분이나 문장에 나타날 때는 상대높임법과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은 ‘해라체’ 종결어미와 어울리고 ‘야’는 ‘하오체’ 종결어미와 호응한다는 데에 근거하여 ‘응’을 ‘해라체 담화표지’로, ‘야’를 ‘하오체 담화표지’로 보았다. 또한 ‘응’과 ‘야’의 이러한 등급 차이는 이 방언의 감탄사 ‘응’과 ‘야’가 문법화 과정을 거쳐 어휘적 의미가 약화되어 담화표지로 발달하게 된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담화 기능에서 담화표지 ‘응’과 ‘야’는 그 앞에 오는 요소에 초점을 주기 위한 ‘집중시켜 호응얻기’의 담화 기능I과 화자가 청자에 대하여 심리적인 거리감을 해소하는 ‘친밀감 나타내기’라는 담화 기능II로 나눌 수 있었다. 전자는 ‘응’, ‘야’의 통사적 특징이 담화기능에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부차적이고 후자는 ‘응’, ‘야’가 문장에 실현되어 갖는 새로운 담화 기능이라는 데서 본질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syntactic features and discours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ng’ and ‘ja’ in Hamgeong dialec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Hamgeong dialect, and connected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and foreign theory. After that process, it was clarified that discourse markers ‘ng’ and ‘ja’ has relation with addressee honorific when they are found in the sentence as adjunct. It was found that ‘ng’ goes with the final endings of ‘low form’ and ‘ja’ goes with them of ‘respect form’, and this study judged that ‘ng’ is ‘low form discourse markers’ and ‘ja’ is ‘respect form discourse markers’. The difference of the level is judged that the lexical meaning of the interjection ‘ng’ and ‘ja’ in this dialect got weak after grammaticalization, and then they became to be discourse markers. And then, it is found that discourse markers ‘ng’ and ‘ja’ can be divide into two discourse function. One is ‘concentrate and get response’ that give focus to the front constituent, it is secondary funciton because the syntactic features of ‘ng’ and ‘ja’ were reflected in the discourse function. The other one is ‘show the close relationship’ that resolve the psychological sense of distance from speaker to listener, it is essential funciton because ‘ng’ and ‘ja’ in the sentence get a new discours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