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전주지역어에서 음장이 운소로서 유효한지를 실험음성학적으로 점검해 보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모음의 지속시간 비율, 통계적 유의성, 면담 조사 결과 등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지역어의 노년층 화자에게서 음장의 변별력이 발음 및 청취 두 측면에서 매우 약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장모음 대 단모음의 지속시간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매:-매>손:-손>벌:-벌>눈:-눈>일:-일>말:-말’이었다. P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경우에는 순위에서 약간의 변동이 생겨 ‘손:-손>눈:-눈>벌:-벌>매:-매>일:-일>밤:-밤’과 같이 되었다. 두 분석 결과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일:-일’과 ‘밤:-밤’을 제외하고는 음장의 변별이 아직까지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취의 측면에서는 10명의 자료제공인 중 3명만이 청취 변별이 가능하다고 대답하였다. 그런데 이 3명 중 2명은 발음 변별 측정에서 근소한 차이로 장단을 변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자료제공인의 말에서 장단의 대립이 사라지고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at length can be valid as a phoneme in Dialect of Jeon-ju area in terms of experimental phonetics. To attain the aim, we examined the rate of vowel duration, meaningfulness of statistics, and result of interview. As the result, we can find a weakness in discrimination of sound between pronunciation and listening to older person who live in Jeon-ju. At first, when it is sorted in ascending order of duration in long vowel vs short vowel, these order is ‘매:-매>손:-손>벌:-벌>눈:-눈>일:-일>말:-말’ but, If we apply P-value, there are some of changes. we can get this order ; ‘손:-손>눈:-눈>벌:-벌>매:-매>일:-일>밤:-밤’. Even though there are discrimination of sound could be still available except for ‘일:-일’ and ‘밤:-밤’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wo analyses. When we compare previous study, we can find the discrimination which is much weaker. Three people among ten informants offering data can figure out the listening part. However, two candidates among tree people responding to the answer in pronounced discrimination measure narrowly could not discriminate length. This means that long and short of the conflict in their speech with data disapp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