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경계에 있는 두 지역어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어에서 일어나는 움라우트 현상을 정밀하게 기술하고, 전북방언과 충남방언의비교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충남방언을 다룬 기존 논의에서는 충남의 남부 지역중에서도 금산과 논산을 전북방언의 영향이 짙은 지역으로 한데 묶어서 논의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충남의 남부 지역이 어떻게, 어느 정도 전북과 가까운지는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완주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은 이전 세대에는 다른남부방언과 마찬가지로 활발하였는데, 최근에 그 세력이 상당히 약화되어 여전히활발한 움라우트 실현형을 보이고 있는 남부방언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알 수 있었다. 논산과 금산은 충청남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다른 지역어에 비해움라우트 현상이 활발한 편이었지만 현재 그 세력이 거의 소멸되어 논산지역어는 인접한 전북방언, 즉 완주지역어에 가깝기보다는 인접한 충남의 지역어들과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완주지역어와 논산지역어의 움라우트 양상을 비교해 보았을 때, 완주지역어는 움라우트 현상이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어느 정도 실현이 되고 있는 반면, 논산지역어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현재 거의 소멸되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Umlaut in Jeonbuk Wanju Dialect and Chungnam Nonsan Dialect, and makes a comparison between two dialects. In the previous generation, Umlaut in Wanju Dialect was lively like other Southern dialects in Korea, but lately appears to be weakening. Umlaut in Nonsan Dialect and Geumsan Dialect, meanwhile, were lively compared with other Southern dialects in Chungnam, but currently Umlaut in Nonsan Dialect has lost strength, so that is approaching adjacent dialects in Chungnam. To conclude, while Umlaut in Wanju Dialect has decreased but still appears in some degree, Umlaut in Nonsan Dialect is nearly being l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