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국어원이 추진한 ‘지역어 조사’의 추진 과정, 조사 방법, 조사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역어 조사’는 2003년 11월 남북국제학술회의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지역어조사 및 정리를 합의하면서 시작되었지만 2007년 이후에는 남측만의 조사로 규모가 축소된다. ‘지역어 조사’는 2004년 기초 조사를 거쳐 2005년부터 2011년까지 현지 조사를 하였으며, 2012년과 2013년에는 구술 발화를 전사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조사 지역은 국내외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는 ‘권역별 지역어 조사’, 국외는‘집단 이주 한민족 지역어 조사’로 진행되었다. 국내 조사는 도 단위 9개 권역의 방언권 하위 구획을 고려하여 61개 지점을 조사하였고, 국외 조사는 한민족집단 이주 역사를 고려하여 10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구술 발화, 어휘, 음운, 문법으로 조사 분야를 나누고, 질문 항목으로 구술 발화 189개․어휘 1,728개․음운 450개(실제 조사 결과는 1,599개)․문법 298개를 선정하였다. 전사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음성 전사와 한글 전사를 원칙으로 삼았고, 구술 발화는 문장 단위로 전사하였으며, 어휘․음운․문법은 어절 단위로 조사 항목이 있는 부분만 전사하였다. 조사 결과물로는 음성․전사 파일(약 3,108시간․약 2,491시간 분량)과 92권의 보고서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describe the ‘regional language research,’ including its phases, method, and findings, which was proceeded from 2004 to 2013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o analyze the findings. The regional language research was started after the agre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n the research and documentation of regional language, but since 2007, only South Korea continued the research. After the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in 2004 and the field research from 2005 to 2011, the spoken language transcription was implemented from 2012 to 2013. The research is widely divided into two parts according to region: the domestic ‘regional language research by district’ and the overseas ‘regional language research on Korean mass immigrants.’ The domestic study was undertaken at 61 spots, considering the sub-categorized regional dialect zones; the overseas research was conducted at 10 spots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n mass immigration. The questionnaire is developed based on the four sections of the research: spoken language, vocabulary, phoneme, and grammar. The number of selected items in each section is 189, 1728, 450 (among the total of 1599 collected items), and 298 respectively. In terms of transcription in the survey, the principle that was followed is the phonetic transcription, where the sound is transcribed exactly the way it sounds, and Hangeul transcription. For spoken language section, the recordings that include the relevant entries are transcribed by sentence unit, while for vocabulary, phoneme, and grammar section they are transcribed by phrase unit.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recording and the transcription files (each approximately 3,108 hours and 2,491 hours long) and the research report in 92 volu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