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무선인터넷 단말기 보급과 무선인터넷 기술의 향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무선인터넷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무선인터넷은 앞으로 우리 생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소비자들의 사용의도나 구매행동 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많은 통신회사들과 정보가전기업들이 앞 다투어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제품을 출시히고 있으며, 이에 소비자들의 행동이 기업의 주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인터넷의 사용의도를 신뢰, 자기 효능감과 기술수용모델(TAM)을 결합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선인터넷의 사용에서 사용자의 특성인 신뢰와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무선인터넷의 주 사용층인 대학생과 20대를 위주로 조사되어졌으며, 총 245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연구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의 결과 신뢰와 관련된 가설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졌으며, 자기효능감과 TAM과 관련된 변수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analyze the effects of trust and self-efficacy with TAM(Technical Acceptance Model) for intended mobile internet use. Trust is a belief that one can rely upon a promise made by another. Self-efficacy,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is reflective of confidence in one's ability to perform a particular task. This study is designed with 8 research hypotheses, Results from analyzing their main effects that 5 of 8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results that trust was insignificance in th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of-us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But self-efficacy was significance in th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of-us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ere significance in th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