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취업 및 진로개발 지원서비스 중 하나인 면대면 취업 컨설팅의 확산에 중요한 요소인 추천 의도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규명한 연구이다. 추천 의도의 선행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재이용 의도, 만족도, 신뢰성, 공감성, 전문성, 성별, 성적 등과 같은 다양한 영향 변수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총 111명의 취업 대상자들에게 면대면 취업 컨설팅을 수행하였으며, 그들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추천 의도, 재이용 의도, 만족 간에 설정한 세 개의 가설들은 모두 채택되었다. 신뢰성과 전문성은 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지만, 공감성, 성별, 성적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면대면 취업 컨설팅을 보다 많은 청년 구직자들에게 확산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요인들에 대한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훈과 함의는 온라인을 통한 취업 컨설팅 서비스를 개발․제공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가 취업 희망자에 대한 컨설팅의 발전과 확산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취업지원서비스의 효과성 제고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aim to figure out antecedent factors to recommendation intention about the face-to-face job consulting. In order to identify the antecedents, we selected various causing factors such as intention to reuse, satisfaction, reliability, empathy and expertise. In addition, we introduced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and grade point average. For empirical analysis, we implemented a series of face-to-face job consulting services to 111 graduates(-to-be) and collected their reponses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research. As a result, the degrees of reliability and expertis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ly relat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spectively. So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use, between the intention to reuse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finally between satisfac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However, the degree of empathy, the gender of consultants and/or graduates(-to-be) and the grade point average of the graduates(-to-be) were turned out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We hope that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provide valuable insights and guidelines to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face-to-face job consulting service and thus help Korean graduates(-to-be) effectively find their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