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7년 IMF 사태 이후 중산층이 붕괴하고 경제 양극화가 시작되었다. 경제양극화는 우리보다 더 심한 선진국도 있지만 이로 인한 교육영역의 양극화 문제는 유래가 없는 학부모들의 높은 교육열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계급 양극화로 치닫게 되어 빈곤이 세습되는 계급사회를 초래하고 있다. 부가 극소수에게 편중되고 가속화되면서 과도한 사교육비 문제가 등장하고 소외계층 학생들이 자신의 노력만으로 계층을 넘을 수 없다고 믿을 때 잘사는 사람들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교육 혜택이 많은 부유층 자녀는 그렇지 못한 빈곤층 자녀보다 학력이 더 높거나 명문학교로 진학하게 되어 취업과 결혼에 유리하므로 이는 또 다시 계급격차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통계청 사교육비 조사결과 및 한국교육개발원 학교교육실태분석 자료 등을 이용해 불평등한 사회 양극화 구조와 부모의 사회 경제적 배경이 자녀의 교육에 어떻게 개입되는가를 관찰하고 교육을 매개로한 계급재생산과 사회양극화 현상을 완화시킬 방안을 검토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educational gap since the bipolarization of economic structure and collapse of the middle class begun with the IMF era in 1997. There exist more developed countries with greater bipolarization of economic structure than Korea. However, the extreme obsession in education of Korean parents causes the bipolarization of economic structure to lead to bipolarization of social structure and continuous hand down of poverty. Therefore, educational inequality among Korean children is substantially determined by difference in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s the wealthy parents actively provides expensive privat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Generally parental income significantly correlates with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But the educational inequality caused by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becomes more critical as the children obtain degrees from different colleges and presented with different career opportunitie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idens as different career opportunities which means different level of income generated. Children from economically upper class can attend selective colleges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yielding high economic returns and are provided with a chance to find a better marriage partner, while children from economically lower class are deprived of these opportun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affects of bipolar socio-economic structure on education and how to mitigate the por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derived by bipolar socio-economic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