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동 표현에 있어서 장소성을 가진 명사임에도 불구하고, 결합하는 이동 동사에 따라서 장소에 전화(転化)하는 현상과 결합하는 명사에 의해서도 장소에 전화(転化)하는 정도가 틀린 현상에 주목하여, 그 요인을 밝히는 점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일본인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이동 표현문을 제시하여 적절한 용인도를 선택하는 질문지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결합하는 동사에 관계없이 용인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명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iku」「tsuku」「mukau」는, 결합하는 명사에 따라서 용인도가 변화하며, 동사에 따라서도 용인도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인도에 대한 정도의 차이는 이동 동사가 가지는 의미 특성과 명사의 물리적 특성이 관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nouns that express a spatial meaning when combined with motion verbs, even though they normally do not convey that meaning.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egree of the shift to the spatial meaning differs between different nouns and the reasons for that difference. In order to examine these phenomena, I conducted a survey among Japanese native speakers,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ntained sentences with motion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the degree of acceptability is higher with some nouns than with others, regardless of the verbs. However, since in the case of iku ‘go’, tsuku ‘arrive’ and mukau ‘move toward’, the degree of acceptability varies depending on the nouns they are combined with, it can be said that the type of verb also affects acceptability.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reasons for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acceptability are closely related to semantic characteristics of motion verbs, the degree of motion, and size of the physical objects of nou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