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Recently imperative sentences that employ the give-and-receive verbs “temorau/teitadaku” are frequently used. Against backdrop in which there have already been typical imperative sentences employing “shiro/shinasai” or courteous imperative sentences employing the “tekureru” (and its variations such as “tekudasai/o–kudasai”) this paper, focusing on the increasing frequency of using “temorau/teitadaku” sentences as the substitutes, tries to rebuild the system of imperative sentences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in terms of the Leech’s theory of politeness. As “shiro/shinasai” sentences are the expression that lacks the respect for the listener due to the explicit compulsory power, they cannot be used for superiors. Unlike “shiro/shinasai” sentences, “tekudasai/o–kudasai” sentences are truly respectful language that can be used to superiors as they mean honorific and benefit, as yet they are still direct imperative sentences that constrain the behavior of the listeners. On the other hand, “temorau/teitadaku” sentences have the implications of unilateral command that defies the listeners’ intentions. However, they are imperative sentences that show special consideration on the listeners because their compulsory power is indirect and implicit on surface. In addition, they are also imperative sentences that include the respect for the listeners and explicitly indicate the benefit from the listeners. This paper argues that, because of these properties, “temorau/teitadaku” sentences are being used as the substitutes for the direct imperative sentences such as “shiro/shinasai” or “tekudasai/o–kudasai” ones.


최근 보조수수동사「てもらう/ていただく」표현을 이용한 명령문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형적인 명령문「しろ/しなさい」나「てください/お~ください」와 같은「てくれる」계열의 형태를 이용한 정중한 명령문이 이미 존재하는 가운데「てもらう/ていただく」文이 이들을 대신하여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그 배경을 Leech의 폴라이트네스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였고, 현대 일본어 명령문의 체계도 재정립해 보았다. 「しろ/しなさい」문은 강제력이 확실하게 명시되어 있고 청자에 대한 경의(敬意)적 배려가 결여되어 있는 표현이기 때문에 상위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그리고「てください/お~ください」문은 경어와 은혜(이익)가 부여되어 상위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경의(敬意)가 높은 정중어이지만, 청자의 행위를 구속하는 의미를 가지는 직접적인 명령문이라는 점에서는「しろ/しなさい」문과 다를 바가 없다. 한편,「てもらう/ていただく」문은 상대에게 좋고 싫음을 묻지 않는 일방적인 명령의 의미를 함의하고 있지만, 표면상으로는 강제력을명시하지 않는 간접적인 명령문으로 청자에 대한 배려심이 높은 명령문이다. 또한 청자로부터 받은 은혜(이익)가 명시되어 있고, 청자에 대한 경의(敬意)도 함의되어 있는 명령문이기도 하다. 그로인해「てもらう/ていただく」문은「しろ/しなさい」나「てください/お~く ださい」와 같은 직접적인 명령문 대신에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