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90년대부터 2천년대 중반까지 기간 동안 고용창출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역할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연구의 초점은 아시아금융위기가 한국에 밀려오기 전단계인 1990년대 전반기와 아시아금융위기의 충격을 어느 정도 내부화한 2000년대 이후, 규모별 고용창출관점에서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으로는 첫째, 규모별 고용분포, 신규고용창출, 기업들의 인원부족에 대한 통계자료 등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규모별 고용창출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1990년부터 2006년 기간 동안 한국경제에서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역할은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소기업 중에서 특히 9인 이하 종업원을 고용하는 마이크로기업부문에서 고용창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순고용창출에 있어서는 대기업도 순고용창출 기여도가 있으나 상대적으로 중소기업의 순고용창출이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고용의 안정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Korean SME's before and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06. For this purpose, our study splits the total period into two sub periods before and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to ascertain any change in the role of SMEs in job creation in Korea. Our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SME's play an important role in job creation in Korea across the total period, since this study shows the unchanging robust results of the dominant role of SME's for the job creation in Korea utillizing the various measures of employment data: size distribution of employment, new job creation, and firm level data of shortage of employment. Second, micro firms employing less than 9 workers play the dominant role among the size distribution of SME's. Third, the magnitudes of net job creation in SME's is larger than those of Big enterprises. Fourth, the job stability of SME's is inferior to those of Big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