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해외파견 관리자들의 국제경험이 해외파견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파견기간과 국제화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경험이 현지파견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해외파견 한국다국적기업 관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양한 경험변수 중 업무파견기간만이 일반적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파견 횟수보다는 해외파견기간이 더욱 현지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현재 파견근무 기간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즉 현재의 파견기간은 기존의 해외파견경험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해외파견근무기간이 길어지면서 과거의 경험이 비로소 도움이 되는지 혹은 현재의 파견기간이 짧을수록 도움이 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국제화수준은 직무적응과 상호교류적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응의 경우 업무파견기간과 연수파견기간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제화수준이 높은 조직에 속한 파견관리자일수록 기존의 국제경험이 현지적응에 더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experience of expatriate managers on cross-cultural adjustment. The existing studies showed the mixed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atriate adjustment. Given the uncertain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atriate adjustment, we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current assignment tenure played moderate role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xpatriate adjustment with data from Korean expatriate managers.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firm's internationalization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on expatriate adjustment. In addition, expatriate period had a greater effect on expatriate adjustment than expatriate frequency on expatriate adjustment.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current tenure and international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