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의 요인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임금 정책, 성과에 기초한 평가, 정보공유, 고용안정유지 정책이 종업원의 정서적 조직몰입과 유지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가정하였다.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다루어온 연구들은 기업의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요인이 종업원의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하고 전략에 적합한 행동과 성과기준을 달성하도록 하는 과정을 가정해 왔다. 그러나 종업원은 서로 다른 이유 때문에 조직에 대한 몰입을 형성하며, 선행요인과 서로 다른 조직몰입 유형과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그에 대한 관계를 정교하게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모형은 고임금 정책, 성과에 기초한 평가, 정보공유, 고용안정유지 정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지적 조직몰입에는 경제적 교환기준이 되는 고임금정책과 고용안정유지 정책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 중 종업원 규모 50인 이상~300인 미만의 기업의 인사총무담당 부서장 1,425명과 종업원 3,595명으로부터 수집한 응답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인사총무담당 부서장은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종업원은 정서적 조직몰입과 유지적 조직몰입의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고임금 정책, 성과에 기반한 평가, 정보공유, 고용안정 유지정책은 모두 종업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적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고용안정유지 정책만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bases of the previous researches, it is assumed that high performance HRM, such as high level of salary, evaluation based on performance, inter-communication, job security, has a positively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However, high level of salary, job security has a positiveley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both HRM managers and employee in 1,425 firms. HRM managers(N=1,425) were reply to the HR practices of their compan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mployee(N=3,595) were reply to the questionnaire employee attitudes(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size of the firms, the age of company, and the presence of union were controlled in the model.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level of salary, evaluation based on performance, inter-communication, job security,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security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