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is becoming more important for improving employees’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y business organizations use a variety of workplace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informal learning among employees. Research on workplace learning explains that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interrelate and facilitate each oth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engagement in workplace learning activities, openness to learning, and the extent of participant involvement in informal learning.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in a pharmacy company,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a) openness to learning affects participant involvement in informal learning more than engagement in workplace learning activities does; (b) among types of workplace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negatively influence internal informal learning, and web-based learning also has a negative effect on involvement in internal, external in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among newly hired employees, but traditional classroom training positively affects participants’ involvement in informal learning among new employees; and (c) employees at the managerial level involve i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more than other employe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siness organizations and corporate management should support and facilitate employees to learn with openness as well as provide them with workplace learning opportunities.


일터학습에 있어서 비공식학습의 중요성이 대두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직원들의 비공식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전략을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기업 내 공식학습과 비공식학습은 상호 연관되어 있어, 공식학습을 제공할 경우 비공식학습도 동시에 활성화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직원들이 기업에서 행해지고 있는 일터학습에 참여하는 정도가 비공식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함으로써, 일터학습의 참여도와 비공식학습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터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제약회사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터학습에 참여하는 것 자체는 직원들이 비공식학습에 몰입하는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천공동체와 온라인 학습의 경우 비공식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일터학습을 제공하더라도, 체계적인 형태를 갖추지 못했거나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지 못할 경우 일터학습이 오히려 비공식학습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개인의 학습개방성은 비공식학습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터학습의 참여도가 비공식학습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는 관리자 직급에 있는 근로자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직원들에 비하여 비공식학습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리자 직급의 근로자들은 학습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인식하여 비공식학습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 내에서 비공식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종업원들에게 일터학습을 제공하고 이것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원들 스스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