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09년 사업체패널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기업의 운영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재무성과 간 관계에서 운영성과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는데 주된 초점이 있다. 이 연구는 보편주의적 관점에서 하나의 묶음(bundle)으로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영향을 인과적 메커니즘을 통해 실증하였다. 이론 및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개별제도는 채용, 훈련, 보상, 성과평가, 종업원참여, 고용안정 등 6가지 구성요소로 측정하여 합산한 지표를 활용하였고, 운영성과는 이직률과 노동생산성, 재무성과는 인당매출액 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운영성과와 재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운영성과 향상을 통해 재무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성과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재무성과 간 관계에서 매개역할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부에는 요약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further evidence the associations between HPWS and oranisational performance. Using a sample of 993 Korean firms within 2009WPS, we tested the hypothesised associations between HPWS and indicators of organis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supported the notion that HPWS was positively related to labour productivity and sales per pers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 turnover. Also, we found that operational perform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Further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