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시인사이드’라는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어느 장소에서 사람들은 일상적으로증여를 수행한다. 이곳에서 증여는 곧‘존재’의 문제에 직접 닿아 있다. 사람들은자신들의 말과 행동과 그리고‘생산물’로서 특정 장소들‘( 갤러리’)에 출현한다. 갤러리에서 그 이외의 존재의 방법이란 없으며, 언제나 비가시적인 것들은 자신의 존재를 주장하기 위해 가시화되어야 한다. ‘말과 사물’은 그의‘이름’으로서상황 안에 출현하며, 이제 갤러리 내에는 이름들이 있다. 그 이름들은 저마다 자신의 존재를 집단의 몸체 위에 각인시키기 위해 함성을 지른다. 그 치열한 존재의 함성은 그 자체로 일방적인 증여의 행위이다. 따라서 이곳에서‘증여’란 곧 존재의 방식이며, 또한 각각의 개별적 증여의 행위는 특정‘개인’을 향하고 있다기보다는 집단 전체를 향해 있다. 본 논문은 일련의 증여의 양상과 물건의 이동 및그것이 유발하는 후(後)사건적 효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결과적으로 이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어떤‘증여의 논리’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진다.


People carry out constant gift-giving in certain places of DCINSIDE, a virtual community in cyberspace. In these places, gift-giving is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being. . People present themselves as their words, actions and‘ products’(jjalbang)in their living places(galleries) of DCINSIDE. There is no other way of their being in these galleries, and the invisible always must be made visible in order to claim its being. The words and things produced by someone of each gallery are presented with his‘ name’within the situation, and thus there are a multitude of names inside the galleries. Every name raises the clamor to inscribe itself on the social bodies. Its fierce clamor of being is itself a unilateral act of donation. The gift-giving or presentation, therefore, is the only way of being here, and each presentation is for the group as a whole, and not for a particular individual. This article investigates some specific aspects of gift-giving, and the post-evental effect which individual acts of gift-giving cause, before turning, in the conclusion, to the recognition of a certain ‘logic of gift’in cyberspace, as distinguished from gift exchange and reciprocity theory.